목록Algorithm/Cases-BOJ (67)
자이의 프로그래밍
문제 n명의 사람중 m명을 순서에 상관없이 뽑는 경우의 수를 조합이라고 하며 nCm으로 나타낸다. 이 조합은 파스칼의 삼각형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n과 m이 주어졌을때 nCm의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 m(0 ≤ m ≤ n ≤ 30)이 들어온다. 출력 첫째 줄에 nCm의 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2 예제 출력 10 ------------------------------------------------------------------------------------------------------------------------------ 팩토리얼을 직접적으로 계산하지 않고 행렬에 파스칼의 삼각형을 그려서 해결했다. #include using na..
문제 베르트랑-체비쇼프 정리는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Joseph Louis François Bertrand, 1822–1900)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Пафнутий Львович Чебышёв, 1821–1894)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14보다 크고, 28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3개가 있다. (17, 19, 23) n이 주어졌을 때,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

문제 위의 그림과 같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벌집이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방 1부터 시작해서 이웃하는 방에 돌아가면서 1씩 증가하는 번호를 주소로 매길 수 있다. 숫자 N이 주어졌을 때, 벌집의 중앙 1에서 N번 방까지 최소 개수의 방을 지나서 갈 때 몇 개의 방을 지나가는지(시작과 끝을 포함하여)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면, 13까지는 3개, 58까지는 5개를 지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방까지 최소 개수의 방을 지나서 갈 때 몇 개의 방을 지나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3 예제 출력 3 예제 입력 58 예제 출력 5 ----------------------------------------------..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유클리드호제법 int a, b; cin>>a>>b; int GCD,LCM; int A=a; int B=b; while(1) { int r=a%b; if(r==0){ GCD=b; break; } a=b; b=r; } LCM=A/GCD*B/GCD*GCD; cout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cin>>n; for(int i=1; i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cin>>n; for(int i=2; n>1;) { if(n%i==0) { cout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int Array[100]; cin>>n; for(int i=0; i>Array[i]; } for(int i=0; i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 i // 1 2 4 8 | 5 8 4 3 2 // 1 2 4 5 8 | 8 4 3 2 //i가 가리키고 있는 값이 왼쪽으로 들어가야 함 //단, i 왼쪽의 모든 원소는 정렬이 되어 있음 int n, data[100]; cin>>n; for(int i=0; i>data[i]; for(int i=0; i=1; j--) { if(data[j-1]>data[j]){ int temp; temp=data[j-1]; data[j-1]=data[j]; data[j]=temp; } else break; } for(int j=0; j